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

사무실 공기관리 사업주는 쾌적한 사무실 공기를 유지하기 위해 사무실 공기를 관리해야 한다 1. 미세먼지(PM10)는 100 마이크로 g/m3이하로 관리해야 한다. 측정횟수는 연 1회 이상 측정하고 업무시간에 6시간 이상 연속 측정해야 한다. 2. 초미세먼지(PM2.5)는 50 마이크로 g/m3이하로 관리해야 한다. 측정횟수는 연 1회 이상 측정하고 업무시간에 6시간 이상 연속 측정해야 한다. 3. 이산화탄소(CO2)는 1,000ppm 이하로 관리해야 한다. 측정횟수는 연 1회 이상 측정하고 업무 시작 후 2시간 전후 및 종료 2시간 전후 각각 10분간 측정해야 한다. 4. 일산화탄소(CO)는 10ppm 이하로 관리해야 한다. 측정횟수는 연 1회 이상 측정하고 업무 시작 후 1시간 전후 및 종료 1시간 전후 각각 10분간.. 2020. 5. 31.
근골격계부담작업이란?(근골격계질환) 산업안전은 공장이나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근로자만 관련 있는 내용이라 생각 할 수 있지만, 사무직 근로자도 한 자세로 오랫동안 근로할 경우 근골격계에 부담이 올수 있다. 오늘은 근골격계부담작업에 대해 알아보겠다. 근골격계부담작업은 아래와 같다 1. 하루에 4시간 이상 집중적으로 자료입력 등을 위해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조작하는 작업 2.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목, 어깨,팔꿈치, 손목 또는 손을 사용하여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작업 3. 하루에 총2시간 이상 머리 위에 손이 있거나, 팔꿈치가 어깨위에 있거나, 팔꿈치를 몸통으로부터 들거나, 팔꿈치를 몸통뒤쪽에 위치하도록 하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4. 지지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임의로 자세를 바꿀 수 없는 조건에서, 하루에 2시간 이상 목이나 허리를 구부리.. 2020. 5. 30.
산업위생이란?(직업병) 산업위생의 개념에 대해 알아 보겠다. WHO(세계보건기구)와 ILO(국제노동기구)에서 산업위생를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 모든 직업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의 건강(육체, 정신, 사회)을 유지하고 향상시키면서 작업으로 생길 수 있는 질병을 예방하고 유해한 작업을 방지하여 근로자가 신체적 또는 심리적으로 안전한 환경에 배치되어 일하도록 하는 것 산업위생에 목적은 아래와 같다 1.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면서 생산성을 향상한다. 2. 근로환경 및 작업여건을 인간이 움직이기 편리하게 개선 3. 근로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직업병을 예방 산업위생이 연관된 범위는 직업병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아래와 같다 1. 근로자의 작업능력과 여건을 연구 2. 작업하는 환경과 신체적인 환경의 상호 관계를 연구 3. 노동 생리와 정신적 .. 2020. 5. 29.
중금속 중독(산업안전) 중금속 중독에 대해 알아보겠다. 산업이 발달하면서 인간에게 사용하기 편하고 저렴하고 오래가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특수한 물질인 중금속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산업구조가 되었다. 마땅히 인체에 해로운 중금속을 다루는 근로자는 산업보건측면에서 보호받아야 한다. 중금속 중독을 예방하는 공통적인 방법은 산소가 결핍되지 않도록 사전에 공기질 측정을 해야 하고, 유해가스에 노출되지 않도록 측정장비 및 환기장치를 설치해야 하며, 특수 마스크 착용을 작업 시작전에 점검하는 것이다. 특히, 특수마스크등의 착용법은 근로자에게 충분히 교육하고 지도 및 수시로 점검해야 한다. 대표적인 중금속 중독들을 소개하겠다. 첫째, 수은(Hg) 중독이다 수은은 주로 형광등, 농약, 의약품을 제조 할 때 사용된다. 수은에 중독이 되면, .. 2020. 5.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