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안전

산업위생이란?(직업병)

by 안전컨설턴트 2020. 5. 29.

산업위생의 개념에 대해 알아 보겠다.

WHO(세계보건기구)와 ILO(국제노동기구)에서 산업위생를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 모든 직업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의 건강(육체, 정신, 사회)을 유지하고 향상시키면서 작업으로 생길 수 있는 질병을 예방하고 유해한 작업을 방지하여 근로자가 신체적 또는 심리적으로 안전한 환경에 배치되어 일하도록 하는 것

우리나라 산업위생(직업병)은 1950년대 광산 근로자의 진폐증에서 시작되었다.

산업위생에 목적은 아래와 같다

1.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면서 생산성을 향상한다.

2. 근로환경 및 작업여건을 인간이 움직이기 편리하게 개선

3. 근로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직업병을 예방

산업위생이 연관된 범위는 직업병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아래와 같다

1. 근로자의 작업능력과 여건을 연구

2. 작업하는 환경과 신체적인 환경의 상호 관계를 연구

3. 노동 생리와 정신적 조건을 연구

4. 연령, 성별, 적성에 따른 작업문제

5. 신기술을 현장에 적용하는데 건강에 피해가 가는지 조사

6. 근로자 주변의 유해 환경이 끼치는 영향과 대책 마련

7. 근로자의 생체리듬을 감안

8. 근로자의 노동시간와 교대시간을 결정

산업위생전문가는 책임과 의무가 있다.

첫째, 산업위생전문가는 기업체의 기밀을 누설하지 않고, 근로자  및 사회의 이익을 위해 과학적인 지식을 공개 발표한다.

또한,  어떠한 판단이 타협에 의하여 좌우 될 수 있거나, 이해관계가 곤란한 상황에는 개입하지 않는다

둘째,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는 것이 산업위생전문가의 일차적인 책임임을 인지하여야 하고, 위험요인을 측정하고 관리할때 외부영향을 받지 않고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태도를 취해야 한다.

셋째, 기업주는 산업위생관련된 정확한 기록을 유지하고 산업위생을 전문부서를 두어 운영관리해야 하며, 근로자의 건강보호에 책임감을 가지고 경영한다. 또한, 근로자에게 쾌적한 작업여건을 제공하기 위해 산업위생의 이론을 현장에 적용해야 한다.

기업주는 보건관리자에게 다음과 같은 업무를 담당하도록 해야 한다

1. 산업안전보건위원회 또는 노사협의체에서 심의의결한 업무와 안전보건관리규정 및 취업규칙에서 정한 업무

2. 안전인증대상기계등 과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 중 보건과 관련된 보호구 구입시 적격품 선정에 관한 보좌 및 지도

3. 위험성평가에 관한 보좌 및 지도

4. 물질안전보건자료의 게시 또는 비치에 관한 보좌 및 지도

5. 근로자를 보호가기 위한 가벼운 부상에 대한 치료 및 응급처치

6. 환기장치 및 배기강치 등에 대한 설비의 점검 및 공학적 개선에 관한 보좌

7. 사업장 순회점검

8. 산업재해 발생의 원인조사 및 분석을 위한 보좌 및 지도 조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