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설안전

이동식크레인(차량탑재형) 안전작업 절차

by 안전컨설턴트 2020. 6. 6.


이동식크레인(차량탑재형)은 건설현장에서 자주 사용하는 기계장치로서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지켜야 할 안전절차가 까다로운 위험한 작업이다.


이동식크레인(차량탑재형)의 안전작업 절차를 알아보겠다.


1. 작업계획 수립 및 검토
- 사용하려고 하는 이동식크레인의 종류 및 성능, 운행통로, 작업조건, 작업방법, 안전점검 사항을 사전에 확인하고 작업계획서를 작성해야 한다.
- 정격하중 이상으로 작업할 경우 전도하거나 크레인 부재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제조사 별 사용설명서(매뉴얼)과 제원표, 인양능력표를 확인해야 한다.
- 인양능력표를 변경하거나 장비를 개소하거나 불법 탑승설비를 부착해서는 안된다.
- 산업안전보건법 83조에 의한 안전인증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 중량물을 매달아서 상하 및 좌우로 운반하는 용도이외의 사용을 금하여야 하고, 화물의 적재, 하역, 운송을 목적으로만 사용해야 한다.
- 운전원의 면허, 등록증, 보험가입증명서를 확인하여야 하고 작업난이도에 따라 숙련정도를 확인해야 한다.
- 신호수를 반드시 배치하여 정해진 신호방법에 따라 작업을 하여야 한다.
- 지브의 조립 및 분리시에는 매뉴얼의 방법대로 해야 한다.

크레인 처럼 크고 효율이 좋은 기계일수록 위험도가 높다


2. 크레인 종류 선정방법
- 인양물의 내용을 확인한다.
- 크레인 설치위치와 지반을 확인한다.
- 크레인 장비의 제원표를 확보한다.
- 작업반경을 결정한다.
- 붐 길이 및 조합을 결정한다
- 위의 내용을 종합하여 작업 가능성을 검토한 후 부적정 할 경우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
- 크레인 용량 및 기종이 결정 됬으면, 이용가능 면적과 진입로를 확인한다.


3. 작업 전 확인사항
- 상의의 소매부분과 바지의 아래 끝단을 당정하게 묶어서 장비의 모서리나 레버에 걸려 예상치 못한 사고를 방지한다.
- 작업자는 안전모, 안전대, 보호안경, 보호장갑 등의 보호구를 반드시 착용한다
- 크레인 주변에 출입금지 표지판이나, 차단막, 차량 유도원을 배치해야 한다.
- 사고를 대비하여 구급상자와 소화기를 준비하고 보관장소 및 사용법을 숙지시켜야 한다.
- 특고압 전선 근처나 시야 사각지대가 있는지 확인하고 감시자를 배치해야 사전에 정해진 신호방법에 따라 신호 작업을 해야 한다.
- 불법 탑승 설비를 적재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적재시 사용금지 조치를 해야 한다.

 

 * 작업중의 안전수칙은 다음에 포스팅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