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식 크레인이란 원동기를 내장하고 있고, 이동할 수 있는 크레인으로 동력 매개체를
사용하여 무거운 물건을 매달아 아래위 및 오른쪽 왼쪽으로 운반하는 기계이다.
이는 건설기계관리법을 적용받는 기중기 또는 자동차관리법에 따른 화물, 특수자동차의 작업부에 탑재하여 화물운반하는 기계를 말한다.
건설기계관리법을 적용받는 기중기란
무한궤도 또는 타이어식으로 강재의 지주 및 선회장치를 가진 것이다.
이동식 크레인 부품 설명을 하고자 한다.
1. 과부하장치 : 이동시키고자 하는 물건의 무게가 변하지 않더라고 지브의 각도에 따라 크레인을 전도시키는 힘(모멘트)은 변하게 된다.
이때, 전도시키려는 위험한 모멘트가 안정값(안전모멘트)의 크기와 비슷하게 될 때, 경보를 울리고 크레인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장치이다.
2. 권과방지장치 :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도중 와이어로프가 감기는데 너무 과도하게 감겨서 후크(고리)가 지브에 부딪혀서 파손되거나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도 이상으로 중량물을 감아올리면 그 이상 감기지 않게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장치
3. 인양하중표 : 크레인의 거리 및 붐의 각도별 인양능력을 표로 정리한 것으로 이 인양하중표에 의한 정격하중값 이내에서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보통 작업반경이 클수록 인양능력은 작아진다.
4. 장력계수 : 길이가 긴 물건의 양쪽에 와이어로프를 걸어서 인양하는 경우 인양 각도로 인해 와이어로프에 작용하는 하중을 할증하기 위한 계수로서 양쪽으로 벌어진 두줄 사잇각을 A라 할 때 장력계수는 1/cos A 이고 각각의 줄에 걸리는 장력은 (하물의 중량/2) / cos(A/2)이다.
5. 정격하중 : 이동식 크레인의 지브나 붐의 경사각 및 길이에 따라 부하할 수 있는 최대 하중에서 후크, 슬링 등의 달기기구의 중량을 제외한 실제 권상 가능한 화물의 중량
6. 정격총하중 : 정격하중과 후크, 슬링 등의 달기기구의 중량을 포함하여 인양할 수 있는 최대 하중
7. 정격속도 : 정격하중에 상당하는 하중을 매달고 들어올림, 주행, 선회 시 최고 속도를 말한다.
8. 카운터웨이트 : 하중에 의한 모멘트에 대항시키기 위해 설치한 중추 또는 균형추이다
힘, 모멘트 등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힘이 가해지는 반대 측에 부착한다. 크레인이 하중을 들 때 전도모멘트가 발생해서 기울어지려고 하는데 반대쪽에 균형추를 매달아 전도모멘트를 상쇄시킴으로써 균형을 이루게 하고 전도를 방지시키면서 더 많은 하중을 들 수 있도록 도와준다.
9. P.T.O(Power Take Off) : 크레인이 중량물을 들어 올릴 수 있는 힘은 바로 크레인을 움직이는 자동차 엔진이다. 이 자동차 엔진의 회전동력을 유압펌프로 연결해주는 힘을 전환하는 장치를 P.T.O라고 한다. 차량의 엔진을 유압 동력원으로 변환시켜 주는 장치를 실제적인 동력 전달을 맡게 된다.
'건설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현장 대형화재 예방(1) (0) | 2020.06.09 |
---|---|
이동식크레인 인양작업 중 준수사항 (1) | 2020.06.08 |
이동식 크레인 작업중 안전수칙 (0) | 2020.06.07 |
이동식크레인(차량탑재형) 안전작업 절차 (0) | 2020.06.06 |
아르곤 가스와 산업재해(질식사) (0) | 2020.05.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