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동식 크레인의 진입로를 확보하고, 작업 장소 지반(바닥)의 지지력을 확인해야 한다.
- 지지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지형도면과 지반조사 결과에 따른 보링주상도가 필요하다. 만약 이러한 자료가 없으면 현장관입시험, 실내 압축시험, 평판재하시험을 통해 지반조사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지반지지력이 이동식 크레인의 적용하중보다 작으면 큰 문제가 되므로 지반보강을 반드시 해야한다.
2. 이동식 크레인의 아웃트리거는 제원표상 최대폭 설치가 가능하고 지지력이 확인된 견고한 지반에 설치해야 하고, 필요시 미끄럼 방지나 보강철판 등으로 보완하여야 한다.
3. 절토 및 성토 선단부 등 토사 붕괴 위험이 있는 장소에는 원칙적으로 이동식 크레인의 설치를 금지해야 한다.
4. 이동식 크레인은 수평균형을 확인하고 설치해야 전도되지 않는다.
5. 차량에 시동을 걸고 P.T.O(동력인출장치)를 넣어도 되는지 엔진상태를 점검해야 한다.
6. 클러지페달을 완전히 밟고 P.T.O 스위치를 작동해야 한다.
7. 클러치 페달에서 발을 천천히 뗀다.
8. 작동유의 온도가 어느정도 상승될 수 있도록 충분한 시운전을 해야한다.
9. 아웃트리거(안정기) 4개를 최대로 확장하고 고정핀으로 고정해야한다.
10. 4개의 아웃트리거 접지판이 모드 지면에 밀착되도록 설치해야 한다.
11. 수평계를 보면서 차량이 수평이 되도록 조절한다. 이 때까지 절대 붐을 작동하지 말아야 한다.
12. 붐을 완전히 뻗은 상태에서 너무 빠르게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금지해야한다. 붐 하강시에는 작업반경이 넓어지고 하중능력이 떨어진다. 작업반경표를 정확히 이해하고 차량의 전복에 주의해야 한다.
13.후크를 내릴때에는 드럼에 최소 2바퀴 이상의 와이어로프가 남아 있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14. 후크 상승시에는 붐 헤드에 접촉되지 않도록 권과방지장치 작동상태를 확인하여야 한다. 붐을 길게 뺄 때 후크의 끝단도 같이 움직여 와이어로프가 절단 될 수 있으므로 붐과 윈치 작업은 동시에 해야한다.
15. 중량물을 인양한 상태에서 붐 인출, 인입작업시 실린더, 슬라이딩 패드 및 윈치에 손상을 줄 수 있다.
16. 선회(스윙) 조작은 인양물이 흔들리기 쉽기 때문에 천히 조작하여야 한다.
17. 측방은 후방보다 안전성이 떨어지므로 천천히 선회해야 하고, 전방은 측방보다 더 안전성이 떨어지므로 선회 금지해야 한다.
18. 운전원은 이동식 크레인에 탑승 및 하차할 때 승강계단을 이용해야 한다.
19. 운전원은 작업중에 운전석 이탈을 금지해야 하고 장비를 떠야 할 경우 인양물을 지면면에 내려놓아야 하며, 구동엔진 정지 및 브레이크를 작동상태로 잠금장치를 해야한다.
20. 인양양작업중 고장이 발생 할 경우 바로 인양물을 지상에 내려놓고 브레이크와 안전장치를 작동상태로 유지해야한다.
'건설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현장 대형화재 예방(1) (0) | 2020.06.09 |
---|---|
이동식크레인 인양작업 중 준수사항 (1) | 2020.06.08 |
이동식크레인(차량탑재형) 안전작업 절차 (0) | 2020.06.06 |
이동식크레인(차량탑재형)이란? (0) | 2020.06.05 |
아르곤 가스와 산업재해(질식사) (0) | 2020.05.22 |
댓글